맘스쿨

수학 | [RE] 앤님 또다른 질문 있습니다.

글쓴이 조은여

등록일 2002-03-15 00:22

조회수 2,083

댓글 0

글자확대 글자축소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블로그 네이버밴드 페이스북 트위터
도움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우리 애의 언어 능력 정도는 제법 잘 한답니다.
제가 봐서는 지금 현재형, 과거형, 진행형과 완료형까지 하는 것 같고, 대명사 아주 적절히 사용하고 거의 저와의 대화에 막상막하랍니다.
주위에서는 말 아주 잘 한다고 하죠.
영어도 주워 듣고는 상황에 맞는 말을 조금씩 하고, 알파벳 정도는 21개월이 채 되기 전에 대. 소문자는 벌써 익혔답니다.
설마 알고 있을거라 생각하지 않는 것들도 먼저 애 입에서 나오니 간혹 놀랄떄도 있답니다.
우리 애는 벌써부터 은물 하고 있답니다.
18월경에서부터 구입해서 20개월경부터 수업 받았습니다.
비교적 잘 가지고 노는 편이고, 수업도 곧 잘 한답니다.
지금 4은물까지 나갔는데 수업을 제가 간간이 훔쳐보고 있는데 수학적인 면은 별로 없는 것 같더라구요.
물론 대수나 연산이 직접 들어가진 않더라도. 측도나 비교 도형등을 말하자면 수학적인 부분이 영 빠젔다고는 말할수 없겠지만 그래도 수학적인 부분에서는 조금 부족하지 않나 싶은데 ....
잘은 모르겠네요.
은물 선생님께서는 표현도 많고, 제법 나름대로 집중력도 있고 해서 좋다고 얘기하시는데 글쎄요......
수업내용은 엄마 수준 정도이긴 한데 그냥 수업이란걸 경험해 보고 싶어서 또 애가 좋아하니까 계속 하고 있습니다만, 좀 더 깊이 있게 들어가야 하는건지 계속 궁금한게 많답니다.
그냥 계속 은물 수업에만 맡겨둬도 되는건지 궁금하네요.


까망머리앤님의 글입니다.
> 아이마다 다르지만 어떤 아이는 언어적인 지각 능력이 발달하기 쉽고, 어떤 아이는 언어 중에서도 숫자라는 부분에서 더 흥미를 가지기도 합니다.
>
> 유아기에 숫자에 유난히 관심을 보인다고 모든 아이가 수학적인 재능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숫자에 흥미가 있다는 것은 분명 수를 다루는데 즐거움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어 수학적인 재능은 어떨까 생각하게 합니다.
>
> 하지만 수를 읽는다, 수를 센다는 것과 수를 이해한다는 것은 다른 개념입니다.
> 즉 언어적인 추리력이 뛰어난 아이들은 수를 잘 이해하고 잘 받아들이지요. 그런 의미에서 언어적인 능력으로 수를 받아들이는 경우 수세기를 잘 하고, 십의자리의 수, 백의자리의 수도 쉽게 이해하지요. 그러나 수를 이해하는 아이들은 이런 부분보다 따로 가르쳐주지 않았는데 수의 양적인 부분을 알고 있습니다.
>
> 예를 들면 빵이 두 개 든 봉지를 구입할 때 엄마가 천원을 내면, 빵 하나가 오백원이야 하고 묻는 아이들이 있지요. 그리고 수를 이용하여 암호를 만드는 경우도 있어요. 예를 들면 사자는 4, 오리는 2, 사람은 3 등으로 분류를 하는데, 사자는 네 발로 걷는 짐승이라서 4, 오리는 두 발로 걷지만 날개가 있는 짐승이라서 2, 사람은 두 다리로 걷지만 날개 대신 팔이 있으므로 사지로 기어다닐 수도 있으므로 3 등으로 분류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지요.
>
> 이런 경우, 대수적인 부분뿐 아니라 길이와 부피, 넓이 등의 양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아이의 개념이 폭넓게 자리잡고 수학적인 부분이 먼저 발전합니다. 수학적인 영재의 경우는 이런 과정으로 특별함이 보입니다.
>
> 24개월인데 숫자를 백단위까지 세거나 만들 수 있다면 언어추리적인 부분에서 잘 발달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수를 기억하거나 수를 좋아한다는 점에서도 좋은 시작이 될 수 있지요. 그렇다고 굳이 수학만을 중심적으로 혹은 수학을 따로 가르치실 필요는 없어요.
>
> 다만 아이가 수에 관심이 많은 시기라면 수를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과정은 한계가 있고, 대신 은물을 활용한 놀이를 배우도록 하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
> 자녀분께서는 은물을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수학적인 부분을 폭넓게 아이가 받아들일 수 있을 듯 합니다. 수학도 국어를 잘해야 한다는 점을 아시지요? 지금 어떤 것을 시킬까... 하시면서 학습지나 초등학교에서 배울 수학을 놀이로 만든 교재를 구입하시지 마시고, 아이와 함께 생활 속의 수학놀이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
> 아이가 창조적인 능력이 뛰어날 경우 놀이방법이 제한되는 전집교구(놀이 방법을 상세히 적어주는 교구들)는 금세 실증을 냅니다. 이런 부분에서 가베는 아이가 배우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스스로 수학적인 깨달음을 갖게할 가장 좋은 교구라고 생각합니다.
>
> 까망머리앤 올림~
답글 목록 글쓰기
로그인 후 덧글을 남겨주세요

쑥쑥플래닛

  • 상호명:쑥쑥플래닛 주식회사 대표이사:천선아 사업자 등록번호:449-88-02346 통신판매신고:제 2022-서울동작-0348호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30길 40 상도커뮤니티 복합문화센터 206호(상도동, 상도2차두산위브트레지움아파트) 고객지원 ☎ 010-3229-8467 │ angel8467@gmail.com
  • Copyright (c) 2000-2025 쑥쑥플래닛 주식회사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