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父母有命(부모유명)이시거든
부모님께서 명함이 있으시거든
【父】父-총4획 아비 부물
父(아비 부): 손[又]과 채찍[|]의 결합으로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의 의미입니다.
【母】毋-총5획 어미 모
毋(말 무): '毋'의 중간 '|'을 뺀 글자가 바로 '女'이기에 정숙하고 얌전한 사람인 여자가 부정이나 잘못을 하지 않도록 안된다, 금지하다는 의미의 '|'를 그어 '하지 말라'는 '毋'가 된 것입니다..
【有】月 - 총 6획 있을 유
月(달 월): 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입니다.
【命】口 -총8획 명할 명
口(입 구): 사람의 입모양을 본뜬 글자입니다.
▶국사 용어(4)
21. 전시과(田 : 밭 전, 柴 : 땔나무 시, 科 : 등급 과)
전지(田地:밭을 갈 수 있는 토지)와 시지(柴地: 땔감을 얻을 수 있는 땅)를 관리들의 등급에 따라 나누어주는 제도.
22. 심경법(深 : 깊을 심, 耕 : 밭갈 경, 法 : 법 법)
농사짓는 방법으로 밭을 깊게(深) 갈아서(耕) 농작물이 잘 크도록 하는 농사법(法).
23. 제왕운기(帝 : 임금 제, 王 : 임금 왕, 韻 : 운율 운, 紀 : 기록할 기)
왕(帝王)이 갖추어야 할 것을 운율(韻)이 있는 문장(오언시, 칠언시)으로 기록(紀)한 책.
24. 보문각(寶 : 보배 보, 文 : 글월 문, 閣 : 집 각)
중요한(寶) 문서(文)를 깊이 간직해 두던 궁중의 서고(閣).
25. 섬학전(贍 : 도울 섬, 學 : 배울 학, 錢 : 돈 전)
국학생(學)들을 돕기(贍) 위해 마련한 장학기금(錢).
26. 제술과(製 : 지을 제, 述 : 지을 술, 科 : 과목 과)
문장을 잘 지으면(製述) 합격하는 과목(科) 오늘날 논술(論述)과 비슷합니다.
27. 명경과(明 : 밝을 명, 經 : 경서 경, 科 : 과목 과)
유교 경전(經)에 밝은(明) 사람을 뽑는 과목(科).
☞ 프린터 해서 복습하세요 [프린트 하실분은 클릭해 주세요]
父 | 母 | 有 | 命 |
아비 부 | 어미 모 | 있을 유 | 명할 명 |